이혜숙 기자
서울 도심 감염병 및 응급의료 전담 가능한 서울백병원 도시계획시설 결정 전격 검토
시민 건강을 책임지는 서울백병원의 사회적 책무 이어갈 수 있도록 도시계획 기틀 마련
서울시는 인제학원이 20일 이사회를 열고 ‘서울백병원 폐원(안)’을 의결하고 상정안이 통과되면 오는 8월 말 폐원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보도를 접하고, 그간 서울백병원이 도심 내 감염병 전담기관으로 역할을 해준 것에 대해 높이 평가하며 앞으로도 그러한 중요한 역할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민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우선, 서울시는 도심 내 서울백병원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도시계획시설로 결정하는 것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해당 절차를 추진할 예정이라 밝혔다.
서울시는 중구청에서 도시계획시설(종합의료시설) 결정(안)을 제출하면 열람공고 등 주민의견을 청취하고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치는 등 즉각적인 절차 이행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서울백병원은 중구 내 유일한 대학병원이며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의료 위기 시 신속한 감염병 대응 체계로 전환하고 지역 내 의료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서울시가 도시계획적 지원책을 펼쳐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병원측과 빠른 시일 내에 만나 심도 있게 논의 할 수 있도록 서울백병원-서울시-중구청 등 관련 기관 간 긴밀한 협력구조도 우선 구축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도심 내 의료기능을 유지 시키고 응급의료 등 공공의료의 급작스런 기능 부재가 생기지 않도록 도심 내 종합병원의 도시계획시설 결정을 일괄적으로 추진하는 방침도 동시에 검토 할 예정이다.
중구와 종로구 등 도심 일대에 위치한 서울백병원 이외에 4개 종합병원 등(서울대병원, 적십자병원, 강북삼성병원, 세란병원)에 대해서도 서울백병원과 같은 일이 생기지 않도록 모두 도시계획시설로 결정을 검토할 예정이다.
금번, 인제대학교서울백병원의 이러한 사태는 최근 사립대학 재단이 보유한 유휴재산을 수익용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교육부의 규제 완화책이 영향을 미쳤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사립대 법인이 소유한 종합병원 부지는 타 유휴재산과 동일하게 임의로 매각하거나 용도를 전환할 수 없도록 교육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뉴스 >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패션위크, 파리에서 남성복 브랜드 연합패션쇼, 세계 바이어 만난다 (0) | 2023.06.21 |
---|---|
오페라 · 뮤지컬이 단돈 만원! (0) | 2023.06.21 |
호출하면 오는 버스 '똑버스', 일산 동구부터 운행시작 (0) | 2023.06.21 |
실물 주민등록증과 같은 효력을 지니는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된다 (0) | 2023.06.20 |
세종학당, 전세계 85개국 248개소로 확대, 한국어 배우기 열풍 (0) | 2023.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