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종합뉴스

70년 만에 원형으로 복원, ‘아리랑 스카프’

by 이치저널 2023. 7. 25.
728x90
 

6ㆍ25전쟁 당시 참전용사들이 고국의 가족을 위해 구입한 아리랑 스카프, 70년 만에 원형으로 복원하고 2023년형 재구성 스카프도 제작 
22개 참전국 군인들 나라마다 다른 ‘군가’대신 ‘아리랑’ 부르며 하나로 연대
참전국의 헌신에 대한 감사와 동맹의 상징으로 22개 참전국 대표에게 전달 

'아리랑 스카프'는 1951년 제작되어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참전용사들이 고국의 어머니와 부인에게 보낸 인기 기념품이었다. 

6·25전쟁 중 여러 나라에서 온 연합군은 우리나라의 아리랑을 들었고 함께 생사를 넘나드는 한국군 전우에게서 아리랑을 배웠다. 서로 다른 국적의 유엔연합군은 나라마다 군가(軍歌)가 달라 전장에서 함께 배운 아리랑을 흥얼거리며 서로 하나가 되어 연대했고 미 7사단은 군가로도 채택하였다.

연대의 상징인 아리랑 악보가 새겨진 1951년 원안을 그대로 복원한 스카프는 백색 실크에 용 한 마리가 휘감고 있는 한반도 지도와 참전국들의 부대 마크 사이에 아리랑 악보와 영어로 번역된 <A ARIRANG SONG> 제목이 새겨져 있으며, 태극기를 비롯한 참전국가의 국기가 둘러져 있다. 

 

 

스카프 디자인은 6·25전쟁에 참전한 참전용사들이 하나로 뭉쳐 있는 듯한 형상으로 마치 콜라주 작품처럼 보여 미학적 완성도가 높고 1951년 원안 스카프는 전쟁기념관에 전시될 만큼 역사적 가치도 있다.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아리랑 스카프는 미국 클라이드 부인의 것으로 부인은 1952년 아들 클라이드 상병이 어머니의 건강을 염려하며 편지에 보낸 이 스카프를 결국 돌아오지 못한 아들이 생각날 때마다 손에 쥐고 아리랑 가사를 흥얼거렸다고 한다.

재구성(리뉴얼)해 제작한 스카프 '2023년 아리랑 스카프'는 기존 원안에 1953년 정전협정 이후 70년동안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낸 2023년 대한민국 현재의 모습과 22개국 참전국가 국기를 모두 담아 그 의미를 더했다.

 

이번에 제작된 스카프는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부산에 모인 22개국 참전 대표에게 70년간 이어온 위대한 연대의 상징으로 선물할 예정이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은 “정전 이후 놀라운 발전을 이룬 대한민국의 현재는 70년 전 유엔참전국과 참전용사들의 헌신과 희생에서 비롯되었다”며 “아리랑스카프는 동맹국의 위대한 연대를 알리는 상징물로 70년 동안 이어온 국제사회의 헌신에 감사드리기 위해 복원하였고 이 스카프에 담긴 자유의 가치, 연대의 역사를 잊지 않고 기억해 미래세대에까지 어어가게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부산에서 열리는 정전협정 70주년 및 유엔군 참전의 날 계기 행사는 역대 최대 규모로, 200여 명의 유엔참전용사와 가족, 170여명의 22개국 정부대표단이 25일(화)부터 3박 4일 일정으로 국제보훈장관회의, 유엔참전용사 감사만찬, 정부기념식 등 공식 일정에 돌입할 예정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