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서비스형·민간형 일자리는 전체 노인일자리의 40% 이상으로 확대
보건복지부는 27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운영위원회를 통해 ‘제3차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종합계획(2023~2027)’을 발표했다. 약자복지를 지원하는 노인일자리 사업을 오는 2027년에 노인인구의 10% 수준까지, 사회서비스형·민간형 일자리는 전체 노인일자리의 40% 이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번 종합계획은 ‘약자복지 실현’과 ‘일자리 창출’에 중점을 두고 초고령사회와 신노년세대 등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노인일자리 정책 추진 방향을 담고 있다.

◆ 공익활동형 일자리 내실화
노인 빈곤 완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공익활동형 일자리를 수요에 맞게 제공하고, 사회적 약자에게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확대하며 물가상승, 최저임금 수준 등을 반영한 적정 수준의 활동비를 지원한다.
◆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확대
취약계층과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 기여 욕구도 충족할 수 있도록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를 확대하고 민·관 협력형 일자리도 확산한다.
이를 위해 신노년세대의 경험·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비중을 올해 9.6%에서 2027년 15%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 민간형 일자리 활성화
높은 전문성과 다양한 경험·경력을 보유한 베이비붐 세대 등 신노년세대가 민간기업에서 계속해서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취·창업 지원을 강화한다.
노인 장기고용 달성 때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구인-구직 매칭 활성화를 위해 노인과 구인기업이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온라인 플랫폼을 개선한다. 또한 노인 근로능력과 희망시간 등을 반영해 근무조건이 유연한 ‘탄력 일자리(Flexible Job)’도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 정책 지속가능성 높일 제도기반 강화
노인일자리 정책의 중장기적인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안정적인 법·제도 기반을 구축하고 전달체계를 개선하며 사회적 인식 제고를 위한 다각적 홍보와 민·관 협력 등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민간형 노인일자리 확산을 위해서는 찾아가는 설명회·온라인 설명회 등 민간기업, 수행기관 대상으로 전략적인 홍보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기일 복지부 제1차관은 “노인일자리 정책은 초고령의 저소득 어르신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높지만 노후대비가 부족한 젊은 노년층에게도 반드시 필요한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노인일자리가 노후 소득보장과 더불어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고,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좋은 일자리로 혁신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뉴스 >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염일 때 도심보다 숲의 온도 2.47℃ 낮아 (0) | 2023.07.31 |
---|---|
세계잼버리 개최되는 새만금, 어디까지 가봤나? (0) | 2023.07.28 |
이중섭의 '황소' 광화문광장 수놓는 빛의 예술로 재탄생 (0) | 2023.07.28 |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율 최대 30%로 대폭 확대 (0) | 2023.07.28 |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 발령 (0) | 2023.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