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종합뉴스

AI가 어떤 모기 잡았는지 알려준다. 전세계 최초 모기 분류장비 개발·보급

by 이치저널 2023. 8. 31.
728x90
 

전세계 최초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모기 분류장비 개발·보급
종분류 정확도 94.7%, 작은빨간집모기, 얼룩날개모기 등 주요 감염병 매개모기 판별 가능

감염병 매개모기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선제적으로 방제에 활용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 자동모기분류감시장비」가 개발되었다.

 

 

그동안 모기 발생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포집기(유문등, BG-sentinal trap 등)로 채집하고 수거한 후, 종 분류까지 최소 수일이 소요되기 때문에, 기존의 모기 발생 감시정보를 즉각적으로 방제에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근거중심 매개체 방제사업」에 활용되고 있는 일일모기발생감시장비(DMS, Daily Mosquito monitoring System)를 통해 모기 발생 수를 파악하여 방제에 적용하고 있지만, 채집된 모기가 어떤 종인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육안 및 현미경으로 구분하는 분류작업을 추가로 수행하여야 했다.

 

이번에 충남대학교, ㈜이티앤디와 함께 개발한 자동 모기분류감시장비는 이산화탄소로 유인되어 포집된 모기 영상을 현장에서 바로 확보하고, 촬영된 모기 영상은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술을 통해 분류하여 그 결과를 전송함으로써, 모기 종의 채집지역·지점별, 월별 발생 현황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정보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전 세계 최초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하게 개발되었으며, 국내 주요 감염병 매개모기인 얼룩날개모기, 작은빨간집모기, 빨간집모기, 흰줄숲모기, 금빛숲모기에 대한 94.7%의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정확도는 앞으로 모기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학습된다면 더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매일 채집된 모기를 분류하고 발생 수를 제공할 수 있기에, 모기 다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응 및 살충제 오·남용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 환경친화적인 방제 적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