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22」 발간 및 통계정보 제공
우리나라의 사회보장 통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22」가 발간되었다. 이 통계집은 사회보장기본법에 따라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서 만들어지는 국가승인통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태조사 결과와 행정통계 등 각종 사회보장 통계를 종합하여 우리나라 사회보장의 수준과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사회보장통계집으로, 2013년 이후 열 번째 발간이다.
사회보장통계집은 ▲가족과 생애주기(가족, 아동, 청년, 노인, 장애인), ▲일과 소득보장(근로, 소득보장과 빈곤) ▲삶과 사회서비스(건강, 보육·교육, 문화, 주거, 에너지, 환경) ▲사회재정 등 4가지 범주, 14개 분야로 분류하여 국민의 삶과 사회보장을 총망라하였다.

또한, 51개 세부 정책영역, 총 259개 지표로 구성하였고 아동건강발달, 청년고용, 최저소득보장, 주거의 안전성 등 167개의 대표 지표를 통해 주요한 사회 현상과 시대적 변화를 제시하였다.
공공사회지출(Public Social Expenditure, 약어 SOCX)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2017년 10% 수준(10.1%)에 도달하였고, 2022년 14.8%(예측치)까지 상승하였으며, OECD 평균(21.1%)과는 6.3%p 차이가 났다.
우리 사회의 1인 가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1년 전체 가구의 33.4%(717만 가구)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2021년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한 세대 전 1991년의 1.71명과 비교 시 출산율 1/2, 출생아 수 1/3 수준으로 하락하였다.
경제활동에 있어서 15~29세 청년고용률은 2021년 44.2%에서 2022년 46.6%로 전년 대비 2.4%p 증가하였다.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는 비만율은 2021년도 37.1%(남성 46.3%, 여성 26.9%)로 2020년 38.3%에 비해 1.2%p 감소하였고, 연령별로는 전 연령층에서 비만도가 낮아졌으나 40대만 39%에서 42.9%로 증가하였다.
노년의 생활안정지원을 위한 65세 이상 노년층의 기초연금 수급률은 66.9%(남자 60.6%, 여자 71.9%)로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을 동시 수급하는 비율은 2021년 44.7%로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22」는 국민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자책(e-book)으로 제공되며, 사회보장위원회(www.ssc.go.kr), 보건복지부(www.mohw.go.kr) 및 복지로(www.bokjiro.go.kr)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된다.


'뉴스 >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직업가치는 ‘일과 삶의 균형' (0) | 2023.09.18 |
---|---|
‘가야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16번째 세계유산 (0) | 2023.09.18 |
제주도-가파도 첫 드론택배 서비스 (0) | 2023.09.18 |
4대 특구로 지방시대 본격화…중앙권한 과감히 지방으로 이전 (0) | 2023.09.15 |
한울 4호기, 2차 측 기기냉각수계통 정비를 위해 수동 정지 예정 (0) | 2023.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