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종합뉴스

이번 추석, 스마트폰으로 다누리 위치 실시간 확인 가능

by 이치저널 2023. 9. 26.
728x90
 

다누리, 아폴로 11호와 17호 착륙지, 지구 전면 사진 공개
이번 추석, 스마트폰으로 다누리 위치 실시간 확인 가능
풍성한 한가위 기원하며 보름달 사진 이벤트 진행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은 9월 26일(화)에 밝은 보름달이 뜨는 민족 명절인 추석을 맞이하여 다누리가 달에서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다.

먼저 첫 번째 사진과 두 번째 사진은 다누리가 달 임무궤도 상(달 상공 약 100km)에서 고해상도카메라로 아폴로 17호(‘23.3.30. 촬영)와 11호(‘23.5.10. 촬영)의 착륙지를 촬영한 것이다. 아폴로 11호는 인류가 처음으로 달에 착륙한 유인 우주선이고 아폴로 17호는 달에 착륙한 마지막 유인 우주선이다. 또한 다누리가 달 임무궤도 상에서 지구를 지향해 촬영(’23.9.15.)한 지구 전면 사진도 공개했다.

 

[3월 30일, 다누리의 아폴로 17호 착륙지 촬영 사진(고해상도카메라)]2023년 3월 30일 관측된 자료로 태양은 사진 오른쪽의 높은 고도에 위치하고 있어 약간의 충돌분화구 음영이 관측되며 달 착륙선 착륙지와 착륙시 엔진 분사로 인해서 변화된 월면 표토의 특징 (주변에 비해서 밝게 관측됨)을 보이고 있음
[5월10일, 다누리의 아폴로 11호 착륙지 촬영 사진(고해상도카메라)]2023년 5월 10일 관측된 아폴로 11호 착륙지. 달의 자전으로 인해 아폴로 11호 착륙지의 낮과 밤이 바뀌는 시각임. 태양은 사진 왼쪽에 위치하며 매우 낮은 고도 (지평선에 가까움)이므로 충돌분화구 내부 대부분에서 음영지역 발생. 아폴로 11호 선체가 음영속에서 밝게 보이며 동시에 매우 긴 그림자를 확인할 수 있음. 착륙선 주변에 설치된 레이저반사경 (LRRR)에 의한 매우 밝은 반사광을 고해상도카메라가 촬영하였음 (3월 관측 자료에서는 레이저반사경 확인이 어려움). 다만, 고해상도카메라 분해능의 한계로 인해서 5월 관측의 밝은 점은 LRRR 주변에 설치된 수동지진실험계(PSEP)에 기인한 것일 수 있음.

 

[9월 15일, 다누리의 지구 전면 촬영 사진(고해상도카메라)]

 

항우연은 다누리 홈페이지(www.kari.re.kr/kplo)를 통해 다누리가 관측한 자료를 지속적으로 공개하고 있으며, 이번 추석부터는 모바일 환경에서도 달 궤도를 돌고 있는 다누리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선(9월26일 12:00부터)하였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9월 25일(월)부터 9월 30일(토)까지 ‘보름달 찍기 챌린지’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다. 추석 명절에도 달을 공전하며 성실하게 임무를 수행하고 있을 다누리를 응원하면서, 다누리 이미지가 담긴 증강현실(AR) 필터로 보름달 사진을 촬영하신 분 중 추첨을 통해 소정의 경품도 증정한다.

 

 

 

대한민국 최초의 달 궤도선인 다누리는 지난 해 12월 27일 달 임무 궤도에 진입한 이후 약 1개월의 시운전 끝에 2월 4일부터 정상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지구-달 사진 촬영(‘22.8.26), 세계 최초로 우주 인터넷을 통한 영상 및 사진 전송(’22.10.28) 등 다양한 과학기술적 성과를 도출한 다누리는 당초 계획(‘23.12월 임무 종료)보다 임무운영 기간을 2년 더 연장하여, ‘25년 12월까지 달 착륙후보지 탐색, 달 과학연구, 우주인터넷기술 검증 등의 임무를 수행할 계획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