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등교육법」 내 다문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법적근거 최초 마련
국가 및 지자체, 다문화학생을 위해 필요한 시책을 반드시 수립해야
한국어교육 등 맞춤형 특별학급 설치 및 경비·인력 지원 법적 보장
지역 다문화교육지원센터 설치하여 대학, 기업 등 지역사회가 함께 인재양성 추진
지난 10월 6일(금), 국회 본회의에서 「초·중등교육법」 일부개정법률안이 의결되었다. 이번 법률 개정으로 앞으로 더 안정적이고 강화된 다문화 교육정책 추진 여건을 갖추게 되었으며, 「초·중등교육법」 내 다문화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근거가 최초로 명문화되었다. 다문화학생에는 부모님이나 본인 중 이주배경이 있는 내국인과 한국국적은 없지만 우리나라 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이 포함된다.
앞으로 국가와 지자체에는 의무적으로 다문화학생을 위해 필요한 시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개정된 「초·중등교육법」과 「이주배경학생 인재양성 지원방안(2023~2027년)」을 토대로, △다문화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 △이중언어 등 강점 개발 △다문화 밀집지역의 교육여건 개선 등 다문화학생 맞춤형 정책 수립을 위해 함께 힘을 모을 계획이다.

교육부는 다문화 교육정책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할 수 있고, 시도교육청은 다문화학생의 한국어교육 등에 필요한 특별학급을 학교에 설치․운영할 수 있다. 그리고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특별학급 설치․운영에 필요한 경비와 인력을 지원할 수 있으며, 학교와 교원의 업무부담 경감 등을 위해 지역에 다문화교육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할 수 있다. 앞으로 다문화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학교가 지역대학, 기업 등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다문화 교육환경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학교장은 모든 학교 구성원이 다양성을 존중하며 조화롭게 생활할 수 있는 학교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즉, 이번 법률 개정은 다문화학생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이주배경에 상관없이 모든 학생이 동등한 교육기회를 보장받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드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최근에 발표한 「이주배경학동등한 교육기회생 인재양성 지원방안」다문화교육지원센터과 이번 「초·중등교육법」 개정을 통해, 그간 다문화학생을 소외계층으로 바라보고 시혜적으로 지원하던 관점에서 벗어나 다문화학생을 우리 공동체의 일원으로 바라보고 인재로 양성하는 교육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뉴스 >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 세계 과학기술 석학들을 국내에서 만난다 (1) | 2023.10.10 |
---|---|
2028 수능 국·수·탐 선택과목 없이 통합 평가, 2025부터 내신 9등급에서 5등급 체제로 (0) | 2023.10.10 |
국립공원 샛길 출입, 임산물 채취 등 집중 단속 (0) | 2023.10.06 |
전월세 계약할 때 관리비 양식 확인 (1) | 2023.10.06 |
청년들의 어촌 유입을 위한 지원, 전년 대비 약 31% 확대 (0) | 2023.10.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