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사이트 ‘민방위대피소’ 검색, 카카오톡 ‘서울시’ 채널 내 ‘우리동네 민방위대피소’ 클릭
최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등 국제 안보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한반도 안보 위협 상황을 우려하는 시민불안을 덜어주고, 유사시를 대비하여 사전에 가까운 대피공간을 확인해 둘 수 있도록 서울시는 ‘우리동네 민방위대피소’ 찾는 법을 안내했다.
스마트폰 네이버․다음 포털사이트나 네이버지도․카카오맵․티맵 등 지도 앱에서 ‘민방위대피소’를 검색하면 현재 내 위치를 중심으로 가까운 대피소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카카오톡 서울시 채널에서 ‘우리동네 민방위대피소는 어디’를 누르면 ‘안전디딤돌 앱’ 포함 모바일앱․웹 등을 통해 대피소를 확인하는 방법도 안내 중이다.
![](https://blog.kakaocdn.net/dn/decpdE/btsyt9Rqagt/dRZkfDas8LwC7bEDuyY23K/img.png)
오는 11월까지 자치구와 함께 공공․민간 민방위대피소 일제 점검에 나선다. 대피소 내․외부 적재물 제거, 출입구 확보 등 부적합한 시설을 개선하고 대피기능을 상시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현황을 모니터링해 나갈 방침이다.
연말까지 민방위대피소 내 손전등․구급함 등도 비치한다. 당초 중앙부처의 지침 상 대피소 비상용품 비치는 권장사항이지만 서울시는 시민불안을 해소하고자 25개 자치구에 특별교부금을 지원, 대피소 내부에 유사시 활용할 수 있는 비상용품을 비치한다는 계획이다.
서울 시내에는 현재 약 3천개소의 민방위대피소(자치구 평균 약 120개)가 있으며, 광진구 등 일부 자치구는 비상용품 비치를 비롯해 유사시에 제대로 활용될 수 있게끔 관리되고 있다.
지하철 등 공공시설을 활용한 민방위대피소 외에 아파트․오피스텔 등 민간 소유 대피시설이 평상시 잘 관리될 수 있도록 대피시설 운영 시 재산세 감면 등의 인센티브 지원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중앙부처에 건의했다.
또 민방위법 제정 당시 적용된 1인당 대피면적(0.825㎡)을 상향하여 변화한 국민 평균 체형에 적합하게끔 대피면적을 넓히고, 전방지역 및 서해5도 지원시설에 적용되는 규모의 예산이 서울시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건의했다.
![](https://blog.kakaocdn.net/dn/rP4Am/btsyEDb4ZiR/IEOmHcytyit3omwCQPpyh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S2H08/btsyDKQa35Z/akG9x74BOd4Nm4qGGiyLsk/img.jpg)
'뉴스 >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거·문화·복지 등이 복합된 주거단지 조성, 은퇴자·청년층 등의 지역 정착 지원 (0) | 2023.10.17 |
---|---|
‘불법 영상·웹툰 유통 사이트‘ 공익 신고, 내부 신고자 보상금 최대 30억 원 지급 (0) | 2023.10.17 |
“서울 ADEX 2023” 10월 17일 개막 (1) | 2023.10.16 |
10월은 축제의 달, 문화관광축제 방문하고 경품 받자! (0) | 2023.10.13 |
아이폰15 이용자 사기 피해 주의 (0) | 2023.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