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소재 기능성 규명사업을 통해 기능성 소재 발굴로 기업·농가 상생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당조고추 건조분말’에 대한 식후 혈당 상승 억제 기능성을 인정받아 개별인정형 기능성원료(제2023-32호)로 등재하였다고 밝혔다.
![](https://blog.kakaocdn.net/dn/EACG9/btszbSol7cJ/gYUqkb12O3LCYsEbv1U9FK/img.png)
당조고추는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성 성분인 쿼시트린(Quercitrin)을 다량 함유하도록 2008년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강원대학교·제일종묘농산(현재 오스템바이오)이 공동 개발한 품종으로, 유효성 평가·안전성 평가·인체적용시험 등 실증 과정을 통해 기능성과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결과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농식품부는 2020년부터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하 식품진흥원)을 통해 우수한 기능성을 가진 국산 농산물을 발굴하고 과학적으로 실증하는 ‘’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성과로 블랙라즈베리(혈압조절), 마늘(혈압조절), 토종 복분자(항산화)에 이어 당조국산소재 기능성 규명사업고추까지 기능성 원료로 등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농식품부는 식품진흥원 내 기능성원료은행(2024년 2월 완공 예정)을 통해 기능성 소재를 생산·분양할 계획이다. 한국마늘연합회(마늘), 고창군청·재단법인 베리앤바이오식품연구소(블랙라즈베리) 등 국내 기능성 농산물 주요 생산지(단체)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시제품 제작·인허가 등 기업의 기능성 소재 활용을 지원하여 농업과 기업 간 연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0cApu/btszeKpkZPO/1rDDmkO50tIQ2lxYJyQD3k/img.png)
농식품부 양주필 식품산업정책관은 “국산소재 기능성 규명사업을 통해 우수한 국산 기능성 소재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다”라며, “국산 농산물의 기능성 실증부터 제품화 과정까지 산업 전 주기를 지원하여 식품기업과 농가 간 상생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blog.kakaocdn.net/dn/MMyfi/btszfISlNmY/tJ6m2XtckkESEKvEG5H6m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qheFx/btszcQ4EMAn/RdXj4SYq5S4DaYohP5VJAK/img.jpg)
'뉴스 >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천 해인사 홍하문' 등 사찰 일주문 6건 ‘보물’ 지정 (0) | 2023.10.27 |
---|---|
한울 4호기 재가동 허용 (0) | 2023.10.27 |
내년 국·공·사립유치원 입학, 11월 1일부터 ‘처음학교로’ 서비스 시작 (0) | 2023.10.27 |
당신의 ‘뇌 혈관’, 건강한가요? (1) | 2023.10.27 |
대한민국 최초 ’온천산업박람회’ 아산에서 (0) | 2023.10.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