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 조사(20개 지점)에서 쯔쯔가무시균(Orientia tsutsugamushi) 매개체인 털진드기 트랩지수가 평년 동기간 대비 2배 이상 증가
털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 소매 옷 입기 등 예방수칙 준수 권고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10월 27일(42주차) 현재 쯔쯔가무시증(Scrub Typhus) 주요 매개체인 털진드기의 트랩지수가 0.91로 평년 동기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여, 야외 활동 시 털진드기 물림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털진드기 발생밀도 감시사업은 8월 넷째주부터 12월 셋째주까지 전국 20개 지역에서 수행하고 있다.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을 보유한 털진드기의 유충에 물린 후 발생할 수 있으며, 물린 자리에 가피(검은 딱지, eschar)가 생기는 특징이 있고,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근육통, 반점상 발진, 림프절종대 등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u0yMf/btszjEIz9sG/Befsin8HFgHeAQoKJZYMZ1/img.png)
국내에 쯔쯔가무시균을 매개하는 털진드기는 총 8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2022년도 감시 결과 주로 남부와 일부 북부에서는 활순털진드기가, 중부 및 서부 지역에서는 대잎털진드기가 대표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붙임2 참고).
또한 털진드기가 40주부터 42주차(9월말~10월초)에 증가하기 시작하며, 환자는 43주부터 시작하여 47주차(10월말)까지 큰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추수기 및 가을 단풍철에 털진드기와의 접촉 확률이 높아질 수 있음에 따라, 쯔쯔가무시증 예방을 위해 위험환경 노출을 최소화해줄 것”을 당부하며,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에는 털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 소매 옷 및 긴 바지 착용 등의 예방수칙을 잘 지킬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쯔쯔가무시균 감염 초기에는 항생제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기에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중요하며, 야외활동 후 진드기에 물린 자국(가피)이 관찰되거나, 10일 이내 발열·발진 등 증상이 나타나면 쯔쯔가무시증을 의심하고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b0LDZJ/btszfOyYnlJ/fhlJ5061qKYvNj4D6WK4j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y5jM/btszjBd2Z2N/7Vae2zo7XKg8CyCKRGrVDK/img.jpg)
'뉴스 >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작 50년 지난 생존작가 작품 국외반출·해외매매 가능’ 추진 (0) | 2023.10.30 |
---|---|
국민연금 고갈돼도 국가가 ‘지급 보장’ 명문화, 보험료율 올리되 세대별 인상 속도 차등 (1) | 2023.10.30 |
'합천 해인사 홍하문' 등 사찰 일주문 6건 ‘보물’ 지정 (0) | 2023.10.27 |
한울 4호기 재가동 허용 (0) | 2023.10.27 |
‘당조고추’ 식후 혈당상승 억제 (0) | 2023.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