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종합뉴스

수소차 30만대 보급, 2030년 수소충전소 660기 이상 구축

by 이치저널 2023. 12. 19.
728x90
반응형
SMALL
 
 

‘수소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방안’ 발표…시내·광역버스 등 → 수소버스로 전환
수소지게차 보조금 신설 및 충전요금 할인 혜택 등…구매보조금 등도 상향

2030년까지 수소차 30만대가 보급되고, 수소충전소는 660기 이상이 구축된다. 이를 위해 시내버스, 단거리 시외버스, 광역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하는 등 수소버스 보급을 대폭 늘리고  내년에는 수소지게차 보조금을 신설하는 등 재정·금융 지원을 확대한다. 

환경부는 18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수소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확대 방안은 ▲수소버스 등 상용차 중심의 수소차 보급 확대 ▲액화수소 충전소, 융복합 수소충전소 등 수소충전소 확충 ▲수소 수요 증가에 따른 수소 수급 대응체계 강화 및 공급 다변화 등의 정책방안이 담겼다.  

 

 

이에 수소차 및 충전 인프라 확충을 통해 수송 부문의 수소 활용 촉진과 더불어 대기질 개선 및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규모 수요를 기반으로 시내버스, 단거리 시외버스, 광역버스 등을 수소버스로 전환해 2030년까지 2만 1000대로 대폭 확대한다. 먼저 노선버스는 수소버스로 전환하도록 지자체와 협력을 강화하고 공공기관의 직영버스는 공공부문 저공해차 의무구매·임차제 실적 산정 때 수소버스 가점을 2.0에서 2.5점으로 높인다.

또한 수소 전세버스의 증차 허가는 전기 등 타 버스와의 형평성, 수소버스 운행현황 및 전세버스 수급조절 관련 업계 협의 등을 고려해 검토한다.

화물·특장차는 시범사업 발굴을 통한 보급 여건을 개선한다. 이에 민간수요를 반영해 수소 카캐리어(평택시, H 물류사), 수소 냉동차(P 물류사) 및 수소 트랙터 보급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수소 화물차와 수소 지게차를 집중적으로 도입하는 ‘무공해물류단지’를 내년에 1곳 마련하고 점차 확대한다.

언제 어디에서나 충전 가능토록 수소충전소를 2030년까지 660기 이상 확대한다. 이에 수소충전소 후보지 발굴, 충전사업자 정보 제공, 인허가 컨설팅 등 충전소 설치지원을 위한 헬프데스크를 운영하고, 교통수요가 집중되는 주요 교통거점에 대용량 수소 충전·저장시설, 주차장, 편의시설 등을 갖춘 수소교통 복합기지 구축을 지원한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우리 정부도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를 선도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정책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면서 “수소 활용이 촉진될 수 있도록 버스, 트럭 등 수소상용차 보급을 가속화하고, 수소차 충전에 불편함이 없도록 액화충전소 등 관련 인프라도 적기에 확충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