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만금간척박물관 부지에 조형예술품 16점 설치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 야외부지 및 옥상에 새만금의 특색을 반영한 조형예술품 16점을 설치하여 문화예술공원이 조성되었다.
설치된 조형물들은 새만금의 비전인 ‘새로운 문명을 여는 도시’를 상징하는 한편, 새만금박물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디자인하였고,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는 쉼터 기능을 반영하였다.
조형물은 ‘새만금을 바라보다’, ‘새만금 평화의 휴식’, ‘새만금 바람의 소리를 듣다’, ‘새만금 교육의 자리’ 총 4가지 주제를 표현하고 있으며, 각각의 스토리텔링을 가지고 있다.

새만금의 비전을 담은 조형물(새만금을 바라보다)은 새만금의 희망찬 미래를 바라보는 우리들의 모습을 일렁이는 물결에 담아 새로운 문명을 여는 새만금을 표현하였다. 특히, 물결에 석양을 담아냈을 때 장관을 이루며, 최고의 사진명소가 될 예정이다.

또한 평화로움을 담은 조형물(새만금 평화의 휴식)은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휴식의 공간을 제공하며, 모두가 살고 싶은 명품 수변도시를 표현하였다. 쉼터 속에서 새로운 꿈을 찾고 기회와 가능성을 심어주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바람을 담은 조형물(새만금 바람의 소리를 듣다)은 새만금에 불어오는 새로운 문명의 바람을 공명현상을 통해 경험할 수 있도록 공간 조성을 하였다. 바람소리의 청각과 함께 다양한 색채를 활용하여 시각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간척지 생태계를 담은 조형물(새만금 교육의 자리)은 친환경 간척 새만금을 상징하며, 법정보호종(멸종위기2급)인 ‘알락꼬리마도요’를 포함해 새만금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들의 정보를 알기 쉽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새만금박물관은 작년 8월 7일 정식 개관하여 관광객들에게 무료 개방 중으로 국내 유일의 간척 전문 박물관답게 2023년에 7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방문하였다.
올해에는 새만금박물관 부지를 새로이 문화예술공원으로 조성한 만큼 방문객들이 여유로운 휴식과 함께 예쁜 사진으로 추억을 남기는 경험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은 “새만금의 복합문화공간 1호인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을 문화예술로 새로이 단장한 만큼 국민 여러분에게 작년보다 더 많은 사랑을 받았으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뉴스 >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 취약한 300여 개 농촌 마을, 찾아가는 “왕진버스” 도입 (0) | 2024.01.18 |
---|---|
'천원의 아침밥’ 전년 대비 2배, 450만명분 규모로 대폭 확대 (0) | 2024.01.18 |
‘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 신설, 22일부터 신청 접수, 최대 200만원 지급 (0) | 2024.01.18 |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 40만 명에 이자 환급 (0) | 2024.01.18 |
디딤씨앗통장 이용아동 20만 3000명, 3배 확대 (0) | 2024.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