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타자마자 안전도 챙겨라” 경찰, 안전띠 불감증에 칼 빼들다

by 이치저널 2025. 5. 7.
728x90
 
 

자동차에 탑승한 순간부터 시작돼야 할 기본 중의 기본, 안전띠 착용. 하지만 많은 이들이 여전히 이를 소홀히 여기며 심각한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경찰청이 다시 한번 ‘안전띠 착용’에 고삐를 죄는 이유다.

경찰청은 2025년 한 해 동안 ‘타면 착, 안전도 착’이라는 슬로건 아래 전방위 캠페인을 전개한다. 고속도로에서만 안전띠가 필요한 게 아니라는 점, 저속주행 중에도 착용의 중요성이 크다는 점을 사회 전반에 다시 각인시키겠다는 취지다.

 

 

실제 시속 48km에서 정면충돌이 발생했을 경우, 안전띠 미착용 시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은 착용 시보다 약 2.7배에 달하며, 뒷좌석 승객의 중상 가능성은 16배, 사망률은 최대 9배까지 높아진다는 실험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단순한 접촉사고에도 자세가 흐트러지고 차량 제어를 잃게 되는 사례는 이미 반복되고 있다. 2024년 3월 경기 광주에서는 내리막길을 주행하던 레미콘 차량이 건물 외벽과 전신주를 연쇄 충돌하며 운전자가 사망한 사고도 있었다. 운전자가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사고 원인 통계에 반영되지 않지만, 사망자의 절반가량은 안전띠 또는 안전모 미착용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한다. 2024년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2,521명 중 승차자 사망자는 1,601명, 그 가운데 약 800명이 이 같은 경우에 해당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캠페인은 단순 홍보에 그치지 않는다. 전국 724개소의 안전띠 단속구간을 중심으로 집중 단속을 시행하며, 미착용 사고가 잦은 지점에는 경각심을 주기 위한 가로막도 설치한다. 특히 어린이와 고령자, 화물차 운전자 등 안전띠 사각지대에 있는 계층을 겨냥한 맞춤형 홍보도 병행된다.

정책적 대응도 준비 중이다. 경찰은 손해보험협회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안전띠 미착용 사고 시 과실비율 조정 등 실효성 있는 제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단순 계도 차원을 넘어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구조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경찰청은 연중 SNS, 정부 플랫폼, 민간 채널을 활용한 콘텐츠 홍보도 병행한다. 이를 통해 국민 교통안전 의식의 전환점을 마련하겠다는 게 목표다.

 

경찰청 생활안전교통국장 한창훈 치안감은 “90년대 초 안전띠 착용 의무화 이후 교통사고 사망자가 눈에 띄게 줄었던 것을 기억해야 한다”며, “지금은 자동차 1가구 2대 시대, 다시금 성숙한 교통문화 정착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