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미애 기자
서대문형무소 내 사형장 가는 길에 애국지사들이 원통함을 쏟아내던 미루나무
조국의 독립을 이루지 못하고 생을 마감해야 했던 순국선열의 한을 가상공간에서 승화시키고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상징적 매개체 역할
서대문형무소 내 사형장 가는 길에 애국지사들이 원통함을 쏟아내던 통곡의 미루나무는 1921년 전후 서대문형무소 안에 식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애국지사들이 사형장으로 끌려가면서 조국의 독립을 이루지 못하고 생을 마감해야 하는 원통함에 이 나무를 붙잡고 통곡했다고 하여 ‘통곡의 미루나무’로 불리게 되었으며, 2020년 태풍으로 쓰러져 그 생을 다했다.

통곡의 미루나무는 그동안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을 찾아오는 방문객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상징물이었다. 나무는 현재 방부 처리하여 사형장 앞쪽에 보존 중이다.
또한 사형장 안쪽에도 같은 시기에 식재된 미루나무가 있으나, 너무나 억울한 한이 많이 서려 잘 자라지 못했다는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사형장 안쪽의 미루나무는 2017년 수명을 다해 고사했다.

서울시가 3·1 절을 맞아 서대문형무소에 있는 ‘통곡의 미루나무’를 복원해 메타버스 서울광장에 식재했다고 28일 전했다.
시는 3·1절을 기념해 독립운동 정신을 기리고자 서대문형무소에 있던 ‘통곡의 미루나무’를 가상공간에서 되살리기로 결정했다. 또한 미루나무의 부활을 통해 독립운동가들의 한(恨)이 승화되어 미래로 나아가자는 의미도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통곡의 미루나무’는 가상공간인 메타버스 서울광장에 식재되었으며, 일정 기간의 흐름에 따라 점점 자라나게 된다.
시는 가상공간에 ‘통곡의 미루나무’를 복원함으로써 방문객들에게 순국선열의 숭고한 혼과 정신을 기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통곡의 미루나무’는 ‘메타버스 서울’ 앱을 다운로드한 뒤, ‘메타버스 서울’ 앱을 실행하고 서울광장을 방문하면 만나볼 수 있다.


#통곡의미루나무#메타버스서울#서대문형무소#서울광장#독립운동전신
'뉴스 >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이건희 컬렉션 지역순회전 관람, 약 49만 명 (0) | 2023.03.02 |
---|---|
서울시, 'FC서울과 함께하는 다문화 축구교실' 참가자 모집 (1) | 2023.03.02 |
2022년 상반기 물종합기술연찬회 & 우수기자재 전시회 개최 (0) | 2022.05.13 |
선한영향력을 함께 만들어가는 이치저널포럼 창단식 개최 (0) | 2022.05.02 |
아젤리아드레스 단독패션쇼 성황리에 개최 (0) | 2022.04.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