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종합뉴스

2023 새만금 세계잼버리에서 대한민국 디지털 기술 홍보

by 이치저널 2023. 7. 13.
728x90
 

28㎓ 무선 백홀 활용 와이파이(WiFi)망 구축, 인공지능(AI)으로 똑똑해진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등 편리하고 안전한 잼버리 대회 환경 제공
가상융합세계(메타버스) 체험관·플랫폼, 이동형 과학관 등 디지털 체험의 장 열려
디지털휴먼 홍보대사, 우체국 활용 홍보 등 디지털 기반 홍보 지원도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이하 ‘새만금 세계잼버리’, 8.1일~8.12일)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디지털 기반의 지원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새만금 세계잼버리에 찾아오는 국·내외 청소년들이 편리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대한민국의 첨단기술을 보고 느끼며 좋은 추억을 갖고 돌아갈 수 있도록 디지털 기반(인프라), 서비스, 홍보 지원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편리·안전한 대회를 위한 통신·정보보호 기반(인프라) 지원 

새만금 세계잼버리 대회는 국내·외 많은 청소년들이 모이는 행사(최대 4만여 명)로 인원이 밀집하는 환경에서도 쾌적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회장 주요 밀집 장소인 대집회장, 체험장에 28㎓ 5세대(5G) 기지국을 활용한 대용량 와이파이(WiFi)망 서비스를 지원한다.

 

또한, 안전한 잼버리 대회 환경 조성을 위해 출입금지구역 진입 여부, 화재 발생 등의 사고 위협을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자동 감지할 수 있는 지능형 기술을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에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기술 적용을 통한 사고 감지 예시

 

◆ 우리나라의 디지털 기술을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지원’ 

확장현실(XR)·가상융합세계(메타버스) 등 첨단 기술을 확산하는 ‘새만금 메타버스 체험관’과 잼버리 현장을 가상으로 구현한 ‘세계잼버리 메타버스’ 플랫폼, 중력·무게변화 체험 등의 과학전시체험을 제공하는 이동 과학관 등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통해 찾아오는 관람객에게 다채로운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메타버스기술관, 메타버스라이프관, 가상세계홀 등 총 3개의 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새만금 메타버스 체험관’(총 3층 2,340㎡, ’23.6.19일 개관)은 우리나라의 최신 확장현실(XR)‧가상융합세계(메타버스) 콘텐츠를 보고 만지고 오감으로 느끼며 오프라인으로 체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새만금 메타버스 체험관

 

 또한, 지난 6월 9일 글로벌 출시한 모바일 기반 ‘세계잼버리 메타버스’ 플랫폼은 대회에 참가하는 150여 개국 4만 3천여 명의 스카우트 대원들이 시공간 제약없이 언제 어디서나 접속하여 다른 참가자들과 교류‧소통할 수 있도록 운영될 예정이며, 잼버리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는 스카우트 대원과 일반인도 온라인에서 간접적인 잼버리 활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세계잼버리 메타버스 플랫폼

 

병원이 위치한 글로벌 리더센터에는 정해진 구역을 자율주행하며 공기를 정화하고 바닥의 바이러스·세균을 제거하는 인공지능(AI) 방역로봇을 투입하고 물, 다과 등 서빙이 가능한 자율주행 실내 서빙로봇을 배치하여 로봇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동 과학관에서는 중력·무게변화 체험 등 과학전시 및 과학공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과학버스와 망원경·태양관측카드 등 천체장비를 활용한 천문관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이동 천체차량을 운영하며, 일상 속 과학 지식과 원리를 쉽고 재미있게 실험하고 체험해 보는 사이언스쇼도 진행한다.

아울러 아마추어 전파방향탐지, 모스부호 송수신 체험 등을 통해 스카우트 대원의 위기 상황 대응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라디오 스카우팅(Radio Scouting)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로봇이 자동으로 비강 검체를 수행하며 미래 로봇 방역 시스템을 시연하는 행사 부스도 설치할 예정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