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번 증숙하면 멜라닌 생성 46.6% 억제
피부 희게 하는 화장품 활용 가능성 확인
예로부터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는 가래를 없애고 기침을 치료하는 등 전통 약재로 이용해 왔다. 특히, 홍삼처럼 증기로 찐 도라지는 사포닌을 분해해 맛과 향 등 기호도를 상승시키고 항산화, 항염증 등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Tbdbd/btsx16teiHK/i0DGD8fg3i8OirgUu8FPqk/img.jpg)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쪄서 말린(증숙) 도라지가 피부를 하얗게 하는 미백 효과가 있음을 과학적으로 밝혔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가공 도라지가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힌 적이 있으며, 이번에는 찐 도라지를 미백 등 천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과학적 기준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추진했다.
연구진은 생도라지를 90~95도(℃)에서 4시간 찌고 1일 동안 30도에서 건조하는 과정을 1~3회 반복하며 증숙 도라지를 만들었다. 그리고 동물(쥐) 피부세포(세포실험)에 생도라지와 증숙 도라지(1~3차) 추출물(200μg/mL)을 처리했다.
그 결과, 증숙 횟수가 늘어날수록 피부 미백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https://blog.kakaocdn.net/dn/cXhfKP/btsxUbu8ygF/ZTko08mWqDzCoReZYeWjB1/img.png)
3번 증숙한 도라지 추출물(70% 에탄올로 추출)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46.6%로 생도라지보다 약 2배 높았다. 이는 화장품 미백제인 코직산(kojic acid)의 멜라닌 합성 억제율(21.1%)보다 높은 수치이다.
멜라닌 합성에 작용하는 효소(tyrosinase)도 생도라지에서는 효소 억제 효과가 없었으나 찐 도라지는 14.9%로 억제 효과가 눈에 띄게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연구 결과를 화장품 관련 국내 전문 학술지에 실었다. 앞으로 도라지 미백 증진 효능을 활용,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한다면 도라지의 산업적 수요를 늘리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lNIZl/btsx3L24JzA/7t9IE7PCqLtXQRUdlrKUr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9qQB4/btsx2Prbjyg/YC2rncnrkyLIfTu1LxNWK1/img.jpg)
'뉴스 >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100대 명품숲 방문하고 선물받기 (0) | 2023.10.11 |
---|---|
교권침해 대응을 위한 교원대상 긴급 직통전화 ‘1395’ 구축 (0) | 2023.10.11 |
모바일 신분증 삼성페이와 결합해 신분 확인부터 할인까지 간편하게 (1) | 2023.10.10 |
상표 공존 동의제 도입, 소상공인 상표 사용에 ‘숨통’ (1) | 2023.10.10 |
전 세계 과학기술 석학들을 국내에서 만난다 (1) | 2023.10.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