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표 공존 동의제’ 도입을 위한 상표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내년 4월 중 시행 예정... 중소‧소상공인의 안정적인 상표 사용 기대
상표 등록료 반환 대상 확대 등 출원인을 위한 제도도 함께 개정돼
앞으로 유사한 선등록상표로 인해 자신이 사용하려던 상표를 등록하지 못하는 소상공인의 고민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상표 공존 동의제’가 도입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특허청(청장 이인실)은 상표 공존 동의제의 도입을 골자로 하는 상표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 본회의(10.6)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상표 공존 동의제란, 선등록상표권자 및 선출원인이 동의하는 경우, 동일‧유사한 후출원상표도 등록받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말한다. 다만, 수요자 보호를 위해, 공존하게 된 상표 중 어느 한쪽이라도 추후 부정 목적으로 사용돼 수요자의 오인‧혼동을 야기한 경우 등록을 취소할 수 있도록 했다.

현행 제도 하에서는 선등록상표 또는 선출원상표와 동일‧유사한 후출원상표는 등록이 거절된다. 통계에 따르면 전체 거절상표 중 40% 이상이 이를 이유로 거절되며, 그 중 약 82%가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이 출원한 상표에 해당한다(’22년 기준).
이들은 사용하려던 상표의 등록이 거절될 경우 심각한 경영상의 불안정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시장의 현실을 반영해 상표등록 허용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돼 왔다.
상표 공존 동의제가 도입되면 선상표권자의 동의 하에 사용 예정인 상표를 등록받고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안정적인 상표 사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선상표권자가 사전에 유사 상표의 사용에 동의하게 되므로,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상표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미국‧싱가포르 등 해외 주요국에서도 이미 동 제도를 도입해 시행 중이며, 일본 역시 지난 6월 동 제도의 도입을 위한 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해 시행을 앞두고 있다.
제도는 2024년 4월 중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제도 적용 대상의 폭을 보다 넓히기 위해, 시행 이전에 출원했더라도 시행 시점에 등록 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출원 건에 대해서도 소급하여 적용될 수 있도록 했다.
금번 개정안에는 상표 공존 동의제의 도입 이외에도, △ 새로운 존속기간의 개시 전 상표권 소멸한 경우 이미 납부한 갱신등록료의 반환 △ 변경출원 시 원출원의 우선권 주장 자동 인정 △ 국제 상표의 분할 인정 등 10여개의 제도 개선 사항이 함께 포함돼,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출원인의 권익 보호 및 편의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뉴스 >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찐 도라지’ 미백 효과, 멜라닌 생성 46.6% 억제 (1) | 2023.10.11 |
---|---|
모바일 신분증 삼성페이와 결합해 신분 확인부터 할인까지 간편하게 (1) | 2023.10.10 |
전 세계 과학기술 석학들을 국내에서 만난다 (1) | 2023.10.10 |
2028 수능 국·수·탐 선택과목 없이 통합 평가, 2025부터 내신 9등급에서 5등급 체제로 (0) | 2023.10.10 |
다문화학생 위한 한국어교육 특별학급 설치, 동등한 교육기회 보장 (0) | 2023.10.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