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백일해 환자 1,365명(6,1 기준), 최근 유행했던 ‘18년 동기간(203명) 대비 6.7배 ’23년 동기간(13명) 대비 105배 발생
전국 교육시설 중심으로 집단 발생 중, 7-19세 소아・청소년이 87.1%
감염 시 중증으로 진행할 수 있는 1세 미만 적기 접종(2·4·6개월)이 무엇보다 중요, 이후 추가접종 3회(15-18개월, 4-6세, 11-12세)도 꼭 챙기기
올해 백일해 환자가 1,365명(’24.6.1.기준, 의사환자 포함)으로, 최근 유행한 ‘18년 연간 환자수(980명)를 넘어,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는 백일해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상황이다. 미국에서는 5월25일 기준 4,864명이 발생하여 전년도 동 기간(1,746명) 대비 약 2.8배가 증가하였고, 필리핀은 4.27일 기준 2,521명이 발생하고 96명이 사망하였다. 중국에서도 4월에 91,272명이 발생하여 3월(27,078명) 대비 약 3.4배가 증가하고 24년 누적 사망자가 20명으로 집계되는 등 최근 들어 발생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는 백일해 예방접종률이 1세 97.3%(DTaP 3차), 초등학교 입학생 96.8%(DTaP 5차, 붙임 2 참고) 수준으로 주요 선진국보다 높아, 감염 시 중증으로 진행할 수 있는 고위험군인 1세미만의 감염 사례(4명)**가 적고, 최근 10년간 사망사례도 보고되지 않았다. 다만 환자 수가 지속 증가할 경우 감염으로 인한 중증 합병증 또는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백일해에 감염되어 주변 친구, 나이 어린 형제자매들에게 전파할 우려가 높은 미접종자나, 총 6회의 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불완전 접종자는 신속하게 접종하는 것이 중요하고, 아이를 돌보는 조부모 등*의 경우에도 아이와 접촉하기 최소 2주 전에 백일해 백신(Tdap)의 접종이 필요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현재 전 세계적인 백일해 유행은 코로나19 대유행기 동안 백일해 유행이 없었던 점과 다수 국가에서 예방접종률 감소, 해외 교류의 증가, PCR 검사법의 발전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당분간 유행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라면서, “감염 시 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 1세 미만 영아 대상 적기 접종(생후 2개월, 4개월, 6개월)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이후에도 15-18개월, 4-6세, 11-12세의 추가 접종(4~6차)을 놓치지 말 것”이라고 당부하였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궐 산책 '아름다운 후원, 아름다운 문양 이야기' 무료 참여 (0) | 2024.06.10 |
---|---|
'안성 봉업사지, '고성 동외동 유적'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 지정 (1) | 2024.06.07 |
이슬람 성지순례 기간, 중동지역 방문 10일 전 수막구균 예방접종 (0) | 2024.06.05 |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조심”, 281개 제품 국내 반입차단 대상 원료‧성분 확인 (0) | 2024.06.05 |
인구감소지역 이주 문화·체육시설 근로자에도 정착비 지원 (0) | 2024.06.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