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딥러닝2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 교량의 위험성 평가, 인공지능 예측과 선제적 대응 조태준 Chojus@gmail.com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부식과 미세균열의 진전으로 사고로 발전 딥러닝기법으로 균열진전 및 파단의 불확실성에 대하여 확률론적으로 개선된 베이지안 추론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가능 우리가 늘 이용하고 있는 교량들은 내부나 외부에 강선을 설치하어 팽팽하게 당겨줌으로서 교량 바닥이 장기적으로 처지는 것을 막아주고 있다. 이러한 강선은 작은 다발이 여러 개에서 수십 개까지 모여 하나의 다발을 이루고 있어 쉽게 끊어지거나 늘어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강선들의 당김력(인장력)이 점점 줄어들거나 일부 강선안에 있는 작은 선들이 끊어지는 일이 발생하게 되어 최악의 경우 교량이 붕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12.7mm의 직경을 가지는 .. 2022. 1. 12. 매미 허물 사진 이용해 자동으로 매미종류 구분 박미애 기자 twindaol2@hanmail.net 국립생물자원관, 매미 탈피각 사진으로 동정 자동분석하는 연구 추진 딥러닝 인공지능(AI) 기반 자동 동정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기대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최근 ‘인공지능 기반의 자동 종동정* 프로그램 개발’ 사업을 통해 매미 허물의 사진만으로 종을 동정할 수 있는 정보기술 융합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 동정은 생물의 분류학상 위치 및 종을 바르게 확인하는 작업을 뜻하며, 최근 생물학계에서 정보통신 인공지능 기술(데이터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해 자동으로 종동정을 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음 이번 사업의 첫 대상인 매미 허물은 한방에서 ‘선퇴(매미가 우화할 때 벗어놓은 탈피각으로 한의학에서 말매미(Cryptotympana atrata) 선.. 2021. 8. 10. 이전 1 다음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