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빅데이터6

인공지능과 스마트 병원들 김민수 ems129k@naver.com AI 앰블런스는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확보를 지원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들은 수술실 장비 전체를 통제하고 위험 요인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의료진들에게 전달하는 컨트롤 시스템을 선보이고 있다. 환자뿐만 아니라 의료진들 편의를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AI가 활용되고 있는 것 21년 12월 22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제2 사옥에 약 200평 규모 사내병원을 마련하여 아마존의 원격의료 서비스인 '아마존 케어'를 벤치마킹하고 있다. 아마존 케어는 앱을 통해 의사가 챗봇과 영상으로 진료 상담을 해주고, 복용약에 대해선 동네 약국으로 처방전을 보내준다. 사내병원은 건강검진과 가정의학과, 재활의학과, 이비인후과, 비뇨의학과, 내분비과 등 진료 범위도 넓다. 자사 직.. 2022. 3. 11.
서울시, 4개 물재생센터 AI 기반 하수처리 자동화 시스템 2030년까지 도입 최가람 기자 choikaram88@naver.com AI가 인 농도 등 물재생센터 빅데이터 실시간 분석·예측해 최적의 수질관리 사람이 일일이 관리 → AI 기반 지능형 전환...총 3단계 걸쳐 스마트 인프라 구축 핵심 기반인 통합 DB, 중앙감시체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내년 8월까지 구축 관리자 부재에도 공백 없이 안정적 관리, 불필요한 기기 가동 줄여 에너지 절감 서울시는 미래 하수처리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서울시내 4개 물재생센터를 AI(인공지능) 기반인 ‘지능형 물재생센터’로 전환하며, 이를 위해 하수처리 자동화 시스템을 2030년까지 도입한다고 밝혔다.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 인 농도 등 하수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데이터를 수집·축적해 빅데이터화하고, AI가 이 빅데이터를 실시간 .. 2021. 8. 10.
국립생물자원관 등 13개 기관, 세종서 공동 업무협약 체결 최가람 기자 choikaram88@naver.com 토종식물자원 생명 정보 공유해 국내 바이오산업 경쟁력 높인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수목원,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지난 8월 3일 오후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한국바이오협회, 한국종자협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농생명빅데이터협회, 한국양묘협회와 함께 한반도 토종식물자원의 생명 정보 빅데이터의 산업적 활용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나고야의정서(생물자원을 활용하며 생기는 이익을 공유하기 위한 지침을 담은 국제협약으로, 인류공동의 자산으로 활용되던 유전자원이 이익공유의 대상으로 바뀜에 따라 고유자원에 대한 권리주장이 강화) 발효 등 유전.. 2021. 8. 4.
기후위기 원인 빅데이터와 전문가 집단지성 활용해 분석, 미래전략 모색 최가람 기자 choikaram88@naver.com 안전뉴스 32만 건, 논문·서적 60여 편 분석하여 7개 분야, 32가지 요인 발굴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미래안전이슈(Future Safety Issue) 17호 발간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그동안 인류가 기후변화라는 현상을 어떻게 인식해왔고, 대응에 있어서 어떤 어려움이 있었으며, 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우리에게 필요한 노력이 무엇인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기후변화는 재난 측면에서 관리되어야 할 정도로 심각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미래의 인류를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국립재난연구원은 기후변화 관련 뉴스 32만 건과 논문‧서적 60여 편을 빅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하고, 대학·연구기.. 2021. 7. 28.
2025년까지 모든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클라우드로 전환 최가람 기자 choikaram88@naver.com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통합 추진계획 발표 오는 2025년까지 모든 행정·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이 클라우드 기반 통합관리 운영 환경으로 전환되어 다양한 국민수요에 대응하고 안정적인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통합 추진계획’을 7월 27일 발표하고, 올해부터 5년 동안 행정기관과 공공기관이 운영 중인 모든 정보시스템(10,009개)을 클라우드로 전면 전환·통합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에는 지난해 발표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정부혁신 발전계획’과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일환으로 지난 6월 제4회 전자정부의 날 기념식에서 공개한 ‘제2차 전자정부 기본계획’ 중 ‘2025년까지 .. 2021. 7. 27.
제5회 국토교통 빅데이터 온라인 해커톤 개최 최가람 기자 choikaram88@naver.com 오는 19일부터 국토교통 데이터 기반 신사업 창출의 기회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온라인 해커톤 개최 국토교통부는 국토교통 공공데이터에 대한 활용도를 높이고 국토·교통 분야 정책 및 창업 아이디어·서비스를 발굴하기 위하여 「제5회 국토교통 빅데이터 온라인 해커톤*」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해커’와 ‘마라톤’의 합성어로 기획자와 개발자가 협업하여 단기간 동안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경연 형태이나, 밀집행사를 지양하고 비대면·온라인 방식으로 운영 이번 해커톤은 국토연구원,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공항공사가 공동으로 주관하며, 참가팀에 대해 온라인 교육(유튜브), 참여작 평가 및 애로사항(미개방 데이터* 일부제공 등) 해결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 2021. 7. 14.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