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토리마당/송란교의 행복사냥

말이 달면 지나가는 바람도 쉬어간다

by 이치저널 2024. 4. 19.
반응형
 
 

 

말이 마음이 되고 마음이 곧 말이 된다. 따뜻한 말은 따뜻한 생각, 따뜻한 마음이다. 마음의 알갱이가 자라서 입을 통하여 밖으로 나오면 말이 된다. 손을 통하여 밖으로 나오면 글이 된다.

바른 마음은 바른 말, 예쁜 마음은 예쁜 말의 기본이 됨은 물론이다. 불쑥불쑥 튀어나오는 말도 마음의 밭에서 자라난 것이다. 말의 씨를 마음 밭에 뿌려놓으면 저절로 예쁘게 자라는 것이 아니다. 자연 방목이나 자유 방임한다고 내버려 두면 제멋대로 뒤죽박죽되어 쓸모없는 검불이나 쭉정이 신세가 되어버릴 수도 있다. 정성을 들이고 관리를 하면 버릴 것이 하나 없는 토실토실한 알곡이 될 것이다.

 

해야 할 말 필요한 말은 꼭 하고, 해서는 안 되는 말 필요 없는 말은 절대 안 하는 사람이 말을 잘하는 사람이다. 정성 들여 태아를 교육하고 행동거지를 반듯하게 하는 엄마의 마음으로 마음속 알갱이들이 예쁘게 잘 자라도록 하면 언제 어디서나 실수 없이 바른말을 잘할 수 있다.

 

마음의 알갱이들이 무지개 색깔을 지니고 있으면 다른 사람들이 금방 눈치를 챈다. 몇 마디의 말을 채 나누기도 전에 그 사람의 말에서 예쁜 향기가 나기 때문이다. 그 사람이 숨기려 해도 어쩔 수 없이 흘러나오는 향기는 감출 수 없다.

 

낭중지추(囊中之錐)처럼 삐져나오는 매력을 어찌 호주머니 속에 숨길 수 있겠는가? 세상에서 노력 없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은 극히 드물다. 어떤 목표를 이룬다는 것은 자신이 피땀 흘려 노력하거나 다른 사람이 도와주었을 때 가능한 일이다. 다른 사람의 도움도 내 곁으로 사람이 모여야 가능하다. 따뜻한 말을 한다면 많은 사람이 모여들 것이다. 성공의 운도 함께 불러올 것이다.

바쁜 마음으로 다음 일정을 위해 서둘러 가다가도 맛있는 냄새가 코를 자극하면 잠시라도 내 눈이 그곳을 바라보게 된다. 웃음소리가 들리면 짧은 순간이라도 내 귀가 그 소리를 들으려 한다. 눈을 뜨게 하고 귀를 열게 하는 것은 따뜻한 말, 고운 말, 예쁜 말이다. 퇴근길 허기를 유혹하는 고기 굽는 냄새에는 자신도 모르게 침이 솟는다. 그렇게 맛있는 말은 어디에 있을까?. ’가는 말 고운 말, 오는 말 예쁜 말‘. ’마음이 머물고 싶은 말‘을 찾아보자. 밤새 이슬을 머금고 그리운 임 기다리다 아침 햇살에 얼굴 붉히며 떨어지는 오색 코스모스꽃처럼 고운 마음을 찾아보자.

 

 

예쁘지 않은 꽃이 어디 있으랴만, 아무리 예쁜 꽃이라도 꺾어 놓으면 시든다. 예쁜 말 미운 말이 어디 따로 있겠는가만, 말은 내뱉으면 씨가 된다. 주인의 관심을 받지 못한 꽃은 버려진다. 그러나 주인을 떠난 말은 무성하게 더 잘 자란다. 다른 사람들이 합심하여 키우기 때문이다. 정성껏 키운 딸아이 시집보내는 부모의 마음, 부정 타지 않도록 빌고 또 비는 그런 마음으로 예쁜 말을 내뱉어야 한다. 그러면 엄마의 마음을 닮은 향기로운 말이 나온다.

인정머리라고는 눈곱만큼도 없는 뱀같이 차가운 사람을 우리는 냉혈한(冷血漢)이라 부른다. 꽁꽁 언 얼음덩어리를 깎아 만든 것처럼 아름다운 조각 얼굴, 사람들은 그 얼굴이 예쁘긴 한데 아름답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날카로운 유리 조각처럼 따뜻한 피가 흐르지 않는 사람, 그 사람에게서 사람 냄새가 난다고 말하지 않는다. 차가운 사람이 다가오면 숲속에서 갑자기 독사(毒蛇)를 만난 것처럼 머리카락이 확 일어선다. 그래서 그 자리를 서둘러 피하려 한다. 가까이하기에는 부담스럽다. 따뜻한 아랫목에 앉혀 놓으면 모난 부분이 녹아내릴까? 날카로움이 무디게 둥글어지면 함께 어울리기가 편해진다. 내 몸속에 따뜻한 피가 흐르고 있어야 다른 사람의 차가움을 녹일 수 있다.

 

화가 나면 피가 끓어 오른다. 천불이 나면 온도가 급하게 올라간다. 그러면 펄펄 끓는 뜨거운 피라고 말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그 사람이 따뜻한 마음을 지녔다고 말할 수는 없다. 들끓는 피는 모난 부분만 녹이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태워 버린다. 그러므로 뜨거운 피가 아닌 적당히 따뜻한 피가 필요하다.

암을 일으키는 세포는 낮은 온도를 좋아한다고 한다. 따뜻한 말로 따뜻한 피를 돌게 하여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면 건강한 육체를 보존할 수 있을 것이다. 차가운 밥은 먹을 수 있으나 차가운 말은 참기 어렵다. 듣고 있기에 힘든 비수 같은 말, 꽈배기처럼 비비 비꼬는 말, 가시 돋친 말은 깊은 상처를 입히고 심한 스트레스를 일으킨다. 듣는 사람의 피를 부글부글 끓게 한다.

 

끓는 물은 너무 뜨거워서 못 마시고 얼음물은 너무 차가워서 안 마신다. 거칠고 차가운 말을 내지르고 또박또박 말대꾸하며 대드는 말썽꾸러기 어린애들도 다루기 힘든데 다 큰 어른들을 어떻게 다독일까? 예쁜 말 고운 말 따뜻한 말 긍정의 말로 토닥여 보자.

말이 달면 지나가는 바람도 쉬어간다. 말이 따뜻하면 추위에 떠는 손님도 머물다 간다. 말에 단맛이 나면 맛있는 반찬에 손이 먼저 가듯 귀가 먼저 쫑긋한다. 멀리서도 소문 듣고 수많은 사람이 찾아온다.

 

맛있는 반찬 골라 먹듯 말도 멋있게 해보자. 정성이 들어가면 말도 더 맛깔나다. 다른 사람의 귀를 즐겁게 하면 나의 귀도 즐겁다. 너와 나의 마음과 마음이 통하면 말에 난향(蘭香)이 흐를 것이다. 二人同心其利斷金 同心之言其臭如蘭(두 사람이 마음을 합하면 그 예리함이 쇠라도 끊을 수 있고, 마음을 합한 사람끼리의 말은 그 향기로움이 마치 난초와 같다)라 했다.

텅 빈 지갑 속에 남몰래 용돈을 넣어주는 그런 사람은 뜨거운 마음을 지녔을 것이다. 별들이 모두 숨어버린 어두운 골목에서 반짝이는 마음의 별로 주변을 환하게 밝히는 사람, 갑자기 소낙비가 내리면 연잎처럼 그 빗물을 모두 막아주는 사람, 따따따 막말을 퍼부어대도 스펀지처럼 모두 품어주는 사람, 요즘에는 그런 사람이 귀하다.

 

인정, 배려, 대접, 칭찬은 다른 사람에게서 가장 받고 싶은 것들이다. 받고 싶어서 받으면 기분이 좋지만 되려 베푼 사람에게 빚을 지게 된다. 빚을 지면 삶이 무겁다. 신세를 졌다면 갚아야 할 의무가 생긴다. 빚이나 신세의 많고 적음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아무리 작은 빚이나 신세도 무조건 갚아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빚을 내주면 마음이 가볍다. 다른 사람을 위해 인정, 배려, 대접, 칭찬을 해주는 것도 그 사람에게 빚을 지우는 것이다. 말빚도 빚이다.

나의 빚을 진 사람이 많으면 그만큼 마음이 부자로 산다. 그 사람이 빚을 갚든 안 갚든 내가 짊어지고 가는 짐은 가볍다. 인정은 하되 다름을 배우자. 배려는 하되 비굴하지 말자. 대접은 하되 소문을 내지 말자. 칭찬은 하되 가시는 빼자. 장미꽃에는 가시가 있어야 아름답다고 주장하지 말자. 들어도 들어도 미소가 떠오를 감동, 먹어도 먹어도 또 먹고 싶은 초유의 맛, 엄마의 손맛을 넣자. 그러면 상대는 나의 말에 단내가 난다고 느낄 것이다.

 

웃자고 하는 말도 소재를 무엇으로 삼는가에 따라 참가자 모두가 웃을 수 있고 일부 사람은 찡그릴 수 있고 어떤 사람은 분노를 일으킬 수 있다. 참가자 모두 웃음거리의 불편한 당사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말 속에 무엇을 넣는가에 따라 말의 맛이 달라진다. 비싼 것을 넣으면 비싼 말이 되고 싼 것을 넣으면 싼 말이 된다. 희망을 말하면 희망가, 절망을 노래하면 절망가가 된다. 듣는 귀가 귀하게 들으면 귀해지는 것이고 싸구려로 들으면 싸구려가 되지 않겠는가? 케이크 속에 다이아몬드를 넣어 전해준다면 상대는 사랑을 먹을 것이고, 돌덩이를 넣으면 부서진 이를 먹을 것이다. 송편 속에는 단팥, 볶은 깨, 밤, 꿀물 등이 들어 있다. 입맛에 따라 취향에 따라 골라 먹을 수 있다. 무엇이 들어있는지는 만든 사람만이 알 수 있다. 다른 사람은 그것을 먹어보아야 알 수 있다. 맛있고 맛없고, 내 입맛에 맞고 안 맞고는 먹어보아야 알 수 있다. 그러니 먹어보지 않고도 속에 들어있는 내용물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게 조그마한 빈틈을 보여주면 좋겠다. 어떤 맛에 내 손이 자주 가는지, 어떤 말에 내 마음이 자주 머무는지 돌이켜보자. 한마디 말로 천 냥 빚을 갚을 수도 있지만 한평생 친구의 우정에 금이 가게 하고 닭살 부부를 불구대천(不俱戴天)의 원수로 만들 수도 있다.

‘하지만’ → ‘그런데’, ‘이렇게 해’ → ‘이렇게 해줄래?’, ‘하지 마’ → ‘어떻게 할래?’, ‘안 돼’ → ‘다음에 해보자’, ‘어쩔 수 없어’ → ‘이렇게 하면 될 것 같다’, ‘문제 없지?’ → ‘잘 되지?’, ‘이렇게 하면 안 됩니다’ → ‘이렇게 하면 됩니다’, ‘안 되면 어떡하지?’ → ‘이번엔 꼭 성공할 거야‘ 등으로 바꾸어 표현해보자.

선택지가 긍정이어야 긍정의 답이 나온다. 다른 사람이 살짝 미안함을 느끼게 해 준다면 미안한 마음의 빚을 갚기 위해 내 곁에 오래 머물 것이다. 씨암탉이 방금 낳은 알은 따끈따끈하다. 엄마의 품에서 나온 말도 따뜻하다. 갓 구워낸 따끈따끈한 빵 냄새는 참 맛있다. 천 번의 절보다 따뜻한 말 한마디가 힘이 더 세다. 그러니 맛있는 말에는 혀가 머물고 따뜻한 말에는 마음이 머물 수밖에 없다. 시선이 따라올 수밖에 없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