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기후위기 시대, 우리 동네 2100년의 기후는?

by 이치저널 2024. 12. 24.
728x90
 
 

기후변화 상황지도 서비스가 본격 운영되면서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기후 데이터의 창이 열렸다. 기상청이 제공하는 이 서비스는 국민 누구나 자신의 지역에서 기후변화의 현재와 미래를 확인할 수 있는 핵심 플랫폼이다.

 

 

기후위기의 심각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기상청이 국민들을 위해 준비한 ‘기후변화 상황지도(climate.go.kr/atlas)’가 12월 23일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된다. 시범서비스 기간 동안 긍정적인 반응을 얻은 이 지도는 과거부터 2100년까지의 기온, 강수량, 바람 등 기후 요소를 한눈에 보여주며 미래를 준비하는 중요한 도구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우리동네 기후변화

 

기후변화 상황지도는 단순한 데이터 시각화 수준을 넘어선다. 국민들은 기후 데이터를 통해 기온 상승 추세를 이해하거나 특정 지역의 극한 기후 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시범서비스 당시 제공되던 기온과 강수량 같은 기본 정보에 더해, 본격 서비스에서는 더욱 다채로운 데이터가 추가됐다.

이제 농업과 보건 등 4개 부문의 응용지수 18종, 하천 및 도로 설계에 필요한 강수량 빈도 및 강도 정보, 온실가스와 오존 등 대기 감시 정보까지 한곳에서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특정 지역에서 예상되는 기후변화 정보를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어 정책결정자뿐만 아니라 개인과 기업도 쉽게 활용할 수 있다.

 

기상청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총괄 관리하는 기관으로서, 앞으로도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대·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사회적 가치 경영(ESG) 활동이나 기후 관련 공시에 필요한 정보를 기업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서비스를 확장할 예정이다. 이는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정부, 기업, 개인이 함께 협력하는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 장동언 청장은 “기후변화 상황지도는 정책결정자와 일반 국민 모두에게 기후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며 “우리 사회가 기후재난으로부터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전했다.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의식이 커지고 있는 지금, 기후변화 상황지도는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지역별 기후 데이터를 통해 자연재해 예방은 물론 경제적, 사회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든든한 조력자로 자리할 전망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