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카드 배송원 사칭에서 실제 카드 전달로 수법 발전, 갈수록 교묘해지는 전화금융사기

by 이치저널 2025. 1. 22.
728x90
 
 

전화금융사기가 날로 진화하고 있다. 2024년, 검찰청과 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한 범죄조직이 청년층에서 장년층과 고령층으로 목표 대상을 변경하며 더 큰 피해를 일으켰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2023년 감소세를 보였던 피해가 2024년 들어 다시 증가했다고 밝히며 주의를 당부했다.

경찰청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에 따르면, ‘카드 배송 사칭’ 사례만 해도 작년 11월 88건에서 올해 11월에는 무려 6,619건으로 폭증했다. 이들은 피해자에게 실제 카드를 직접 전달하며 신뢰를 얻는다.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를 받은 피해자가 의문을 제기하면, 사기범은 ‘명의도용 피해가 우려된다’며 가짜 고객센터로 전화할 것을 권유한다.

이렇게 연결된 가짜 상담원은 원격제어 앱 설치를 유도하여 피해자의 휴대폰을 마음대로 조작한다. 악성 앱 설치로 모든 전화와 메시지를 가로채며 녹음과 위치 정보까지 탈취해 피해자의 행동을 완벽히 통제한다. 이후 금융감독원이나 검찰을 사칭하며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대포통장이 개설되었다’며 자금 검수 조사를 받아야 한다고 속인다.

 

심리적 지배는 이때 시작된다. 피해자가 의심을 품더라도 사기범은 위조 문서를 보여주며 피해자의 무고함을 입증하겠다는 명목으로 협박과 위로를 반복한다. 마치 피해자를 돕고 있다는 듯 행동하며 신뢰를 조작하는 이른바 ‘가스라이팅’ 수법을 사용한다. 이들은 심지어 피해자가 은행에서 금융사기 예방진단을 받게 될 상황까지 대비해 답변까지 철저히 주입한다. 인출 사유를 묻는 질문에 ‘사업 계약 자금’을 핑계로 대고 항의하는 방법까지 사전에 교육한다.

 

이들의 목적은 단순히 돈을 빼앗는 데 그치지 않는다. 범죄조직은 피해자가 가진 자산 현황을 파악한 뒤 집요하게 대출을 받게 해 전 재산을 탈취한다. 일부 피해자는 인출할 수 있는 지점을 파악하기 위해 지점별 직원 정보를 조사하라는 지시까지 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피해를 막기 위한 몇 가지 기본 수칙이 있다.

■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가 발급되었다면 112에 신고한다. ■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은 원격제어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는다. ■ 명의도용방지서비스(https://www.msafer.or.kr) 가입을 통해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한다. ■ 주기적으로 백신 앱을 실행하여 악성 앱을 제거하거나 스마트폰을 초기화한다.

경찰청은 이번 설 연휴 동안 ‘카드 배송원 사칭’ 수법 등 전화금융사기 예방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범행 시나리오를 담은 영상을 제작해 미디어에 배포하고, 관련 웹매거진을 발행하여 신종 사기 수법을 국민에게 알릴 방침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사기범들은 편리한 금융 앱을 악용해 피해자의 자산을 노리기 때문에, 타인이 인증번호를 요구할 경우 반드시 사기를 의심해야 한다”며 “재산을 지키기 위해 최신 수법을 숙지하고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