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어에 익숙한 현대 사회에서 낯선 용어들이 일상 속 깊이 자리 잡고 있지만,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한 채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신문과 방송, 공공기관 등에서 외래어를 그대로 차용해 사용하면서 국민들에게 혼란을 주거나 접근성을 낮추는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2024년 한 해 동안 외국 용어 76개를 알기 쉬운 우리말로 다듬는 작업을 진행했다. 국민 수용도 조사 결과, 가장 성공적으로 다듬어진 말로는 ‘혈당 스파이크’를 대신한 ‘혈당 급상승’이 선정되었고, 여전히 쉬운 우리말로 대체해야 할 외국어 1위로는 ‘옴부즈퍼슨’이 꼽혔다.

2024년 다듬은 말은 3월부터 12월까지 총 18회의 전문가 논의를 거쳐 선정되었으며, 매회 2,500명을 대상으로 국민 수용도 조사를 실시했다. 국어심의회 국어순화분과위원회의 최종 결정을 거쳐 공식 발표된 단어들 중에서 국민들에게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표현은 ‘혈당 급상승’이었다. ‘혈당 스파이크’는 급격한 혈당 변화 현상을 의미하는데, ‘급상승’이라는 우리말 표현이 직관적이면서도 이해하기 쉽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어 ‘금리 대폭 인하’(빅 컷), ‘역량 강화’(업스킬링), ‘금리 소폭 인하’(스몰 컷), ‘가치 향상’(밸류업) 등이 국민들이 선택한 성공적인 순화 사례로 꼽혔다. 또한 ‘반려동물 돌보미’(펫 시터), ‘책 소개 영상’(북 트레일러), ‘교차 검증’(크로스 체크) 등도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 대체어로 자리 잡고 있다.

반면 여전히 어려운 외국 용어로 남아 있어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던 단어는 ‘옴부즈퍼슨’이었다. 이 단어는 어린이의 권리가 침해당했을 때 이를 보호하고 구제하는 역할을 하는 대리인을 의미하는데, 우리말 표현으로는 ‘아동 권리 대변인’이 제안되었다. 그 외에도 ‘오프 리시’, ‘리스킬링’, ‘풀필먼트’ 등도 쉬운 우리말로 대체할 필요성이 크다는 의견이 많았다.
특히 국립국어원은 과거 다듬었던 말들이 얼마나 사용되고 있는지 분석하며, 대체어의 정착 여부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블랙 아이스’를 ‘도로 살얼음’으로 순화한 사례가 있다. 2021년 9월 새말 모임에서 ‘도로 살얼음’이 제안된 이후, 실제 사용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조사한 결과, 2021년까지는 ‘블랙 아이스’가 더 자주 쓰였지만 2022년부터는 ‘도로 살얼음’이 이를 앞서기 시작했다. 2023년 이후에는 재난 문자나 언론 보도에서 ‘도로 살얼음’이라는 표현이 훨씬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쉬운 우리말 대체어가 국민들에게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은 2025년에도 외국 용어가 유입되는 속도를 고려해 신속하게 우리말 대체어를 마련하고, 외래어가 정착되기 전에 국민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 또한 다듬은 말의 사용 추이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며, 국민의 지지를 받는 표현을 찾아 확산하는 노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외국어 사용이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 하더라도,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면서도 국민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우리말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공공기관과 언론이 앞장서서 쉬운 우리말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국민 누구나 알기 쉬운 표현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키워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 '첫 도시철도 시대' 개막, 태화강역에서 신복교차로까지 총 연장 10.9km의 구간 (0) | 2025.02.11 |
---|---|
무료체험 후 정기결제 유료 전환, 2월 14일부터 강력 규제 (0) | 2025.02.10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2월 14일부터 단계적으로 시행 (0) | 2025.02.10 |
산림이 돈이 되는 시대, 탄소배출권으로 거래하는 탄소상쇄사업 (0) | 2025.02.07 |
농촌 빈집, 버리지 말고 활용하자! 창의적 재생사업 추진 (0) | 2025.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