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정보기술(IT) 산업 중장년 근로자의 재취업을 돕기 위해 선제적 지원책을 내놨다. 기술 변화 속도가 빠른 IT 업계 특성상 이·전직이 빈번한 만큼,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취업 연계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18일, 김민석 고용노동부 차관과 네이버㈜가 ‘IT 산업 중장년 재취업 지원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네이버는 사내 전문 인력과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해 중장년 IT 근로자를 위한 맞춤형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다. 기존의 단순 기술 교육을 넘어, 희망하는 이·전직 분야에 적합한 직무교육과 취업 연계 과정까지 포함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정부 역시 IT 중장년 근로자의 재취업을 돕기 위한 전폭적인 지원책을 내놓았다. 맞춤형 재취업 훈련을 운영하는 기업에는 훈련 운영 비용을 지원하고, 교육 수료자를 채용한 기업에는 채용장려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단순 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고용 창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협약은 IT 산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가운데, 숙련된 중장년 근로자가 지속적으로 노동시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중장년층은 오랜 경력을 바탕으로 한 경험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갖췄지만, 급변하는 기술 트렌드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정부는 중장년 근로자가 40대부터 미리 생애 경력을 설계하고 50대에는 빠르게 재취업해 60대 이후에도 안정적인 고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일자리 지원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40대에는 직무 전환을 준비할 수 있도록 경력 재설계 지원을 강화하고, 50대는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특성과 선호를 반영한 유망자격형·경력전환형·경력이음형 일자리 모델을 개발한다. 이후 60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계속고용을 제도화해, 노동시장 내 중장년층의 역할을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김민석 고용노동부 차관은 “경력과 능력을 갖춘 중장년 근로자가 노동시장에서 원하는 만큼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개인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중장년층이 40대부터 생애 경력을 설계하고 50대에 빠르게 재취업해 60대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정부와 네이버의 협력은 IT 산업뿐만 아니라 타 산업에서도 중장년 근로자의 지속적인 경제활동을 돕는 모델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기업의 인력 수급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중장년층이 적극적으로 노동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이번 협약이 향후 노동시장 전반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휠체어도, 유모차도 걱정 없는 파주 여행, 모두가 누릴 수 있는 관광지로 변신 (1) | 2025.02.20 |
---|---|
15만명 선착순! 국내 여행 지원금 20만원 (2) | 2025.02.19 |
DR콩고 남키부주, 한국 외교부 여행금지 경보 발령! 즉시 철수해야 (0) | 2025.02.19 |
봄이 오기 전 꼭 해야 할 일, 장식 전구 철거 시급 (0) | 2025.02.19 |
'똘똘한 한 채'의 함정, 편법 증여와 탈세의 실태 (0) | 2025.0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