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AI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유니콘 기업을 5개 이상 육성하고 중소기업의 AI 활용률을 5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미국 빅테크 수준의 AI 모델을 내놓으며 시장에 충격을 준 가운데, 한국 역시 대응 전략을 가동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AI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AI 활용 확산 방안을 발표했다. AI 서비스와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을 집중 지원해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현재 28% 수준인 중소기업의 AI 활용률을 2027년까지 50%로 끌어올리고, 글로벌 AI 유니콘 5개를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먼저 분야별 AI 스타트업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제조, 금융 등 각 산업에 특화된 AI 모델을 개발하도록 돕고, 기업 간 협력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데이터 생성 및 합성을 위한 '데이터 생성 LAB'을 구축하고, 제조 AI 전문기업 100개를 선정해 최대 100억 원 규모의 융자 및 보증을 제공한다.
개방형 혁신을 통해 AI 스타트업의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는 전략도 포함됐다.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협업을 촉진하는 '민관협력 이노베이션 사업'을 활용해 산업별 AI 서비스 개발을 유도한다. 아울러, 중소기업 경영진과 재직자 대상 AI 교육 및 컨설팅을 강화해 AI 활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AI 스타트업에 대한 금융 지원도 대폭 확대된다. 2025년까지 중소기업 신규 유동성 공급 총량(9.8조 원) 중 5.7조 원(약 60%)을 AI 및 반도체 등 혁신성장 분야에 집중 투입할 계획이다. 또한, 2027년까지 정부와 민간 자금을 합쳐 3조 원 규모의 AI 펀드를 조성해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기술보증기금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을 통해 기술보증(5.5조 원) 및 정책자금(4.3조 원)도 지원될 예정이다.
연구개발(R&D) 투자도 AI에 집중된다. 중소기업 R&D 신규 예산(3,301억 원) 중 50% 이상을 AI 등 전략 기술에 배정하고, 민간 투자와 R&D 자금을 합쳐 최대 100억 원까지 지원하는 '고위험·고성과 R&D 사업'을 통해 AI 분야 혁신을 유도한다. 또한, MIT 등 해외 연구기관과 공동 연구를 추진하고,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AI 전문 엑셀러레이터' 제도를 도입한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AI 기술이 TV, 세탁기, 시계 같은 일상 제품에도 적용되는 시대가 왔다"며, "딥시크가 촉발한 글로벌 AI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AI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해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특화 AI 서비스 분야에 집중해 대한민국 AI 국가대표 기업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00건 넘은 통신분쟁, 피해 막을 방법은? (0) | 2025.02.21 |
---|---|
플라스틱 재생원료 의무 사용, 국내 음료업계에 새로운 변화 예고 (1) | 2025.02.21 |
지방 미분양 3000호 LH가 매입,부산·대전·안산 철도 지하화 (1) | 2025.02.20 |
한파보다 무서운 난방비 폭탄? 이 방법으로 해결하세요! (0) | 2025.02.20 |
왕의 즉위식이 열리던 창덕궁 인정전 내부, 3월 한 달간 특별 공개 (0) | 2025.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