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건설.창조33

서해안의 신 산업벨트 대산항 ​ 김영복asan2263@naver.com ​ ​ 공업항 성격으로 건립된 인공항만 ​ ​ 대산항이라는 명칭을 들어보셨나요? 90년대 중반 대산항 기본계획을 수립하며 독곶 일대 현장을 발로 뛰며 적정 항만 위치를 찾던 옛일을 생각하니 대산항에 대한 정감이 새롭다. 대산항에 가면 배후에 펼쳐진 석유화학단지 규모를 보고 여기에 이런 공단과 항만이 있었나 하고 놀라시는 분들도 있을 것이다. 대산항은 천연 자연항이 아니라 임해 공업단지를 지원하는 공업항 성격으로 건립된 인공항만이다. ​ ​​ 1970년 중후반 이후 경제발전에 맞춰 정부 주도로 전국 단위의 중화학 공업항 개발을 추진하면서, 중부권 석유화학산업 단지에 대한 지원항만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1990년 개발을 시작, 1991년 무역항으로 개항되었다. 개.. 2021. 8. 23.
밸류체인과 리스크관리 임종권 jklim54@daum.net K-Risk 프로젝트 리스크관리 가이드라인 (일반지침) 발간 지난 호에는 조직의 안전을 낙관하게 하는 낙관적편향, 조직의 성과를 좀 먹게 하는 사일로 효과를 소개한 바 있다. 지난 호에서 조직의 밸류체인의 문제점을 주로 소개하였다면, 이번 호부터는 이러한 밸류체인의 문제를 해결하여 조직의 밸류저하 위협요소를 억제하고 기회요소는 극대화시키는 리스크관리 이야기를 독자들에게 알리고자 한다. 연이은 물류창고 화재사고, 철거중 붕괴사고, 끊임없는 건설현장 안전사고, 모 방송사의 어이없는 자막 실수 등 프로젝트, 조직, 서비스, 제품의 체계적 리스크관리는 지속가능한 기업과 국가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이러한 체계적 리스크관리를 실천하는 기업이나 국가.. 2021. 7. 28.
밤바다를 가로질러 달려가는 낭만의 제주 김영복 asan2263@naver.com 제주항들은 다른 지역의 항만처럼 해양수산부에서 개발 및 유지관리를 하는 게 아니라 제주도 특별자치도에 예산을 지원하여 개발 및 관리 세계 속의 관광 제주로 도약 밤바다를 가로질러 달려가는 낭만의 제주 요즈음처럼 무덥고 여행에 대한 갈증이 절실한 시기에 UNESCO 세계 자연유산인 성산 일출봉과 거문오름, 한라산 국립공원, 중문 주상절리대, 만장굴, 천지연 폭포, 비자림 등 도처에 자연절경과 힐링 코스가 기다리고 있는 제주로 훌쩍 떠났으면 하는 마음이 드는 것은 나만의 욕심은 아닐 것이다. 지금이야 신혼여행지로 해외로 나가는 것이 유행처럼 되었지만 70~80년대 제주도 신혼여행은 커다란 호사였다. 지금도 제주도 가는 여객선에 몸을 싣고 밤바다를 가로질러 낭만의 제주.. 2021. 7. 28.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