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철이 되면서 황사와 미세먼지가 연일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하늘이 뿌옇게 변하고 외출할 때 목이 따끔거리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보건용 마스크 착용이 필수가 되고 있다. 하지만 마스크를 쓰면서도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기한이 지난 제품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아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황사·미세먼지 발생이 잦은 시기를 맞아 보건용 마스크의 올바른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강조했다.
보건용 마스크는 황사, 미세먼지, 감염원 등 입자성 유해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품이다. 하지만 아무 마스크나 사용한다고 해서 효과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반드시 식약처에서 허가받은 '의약외품' 표시가 있는 KF(Korea Filter) 보건용 마스크를 사용해야 한다.

KF 보건용 마스크는 미세입자를 걸러내는 성능에 따라 KF80, KF94, KF99로 구분된다. KF80은 평균 0.6μm 크기의 미세입자를 80% 이상 차단할 수 있으며, KF94는 평균 0.4μm 크기의 미세입자를 94% 이상, KF99는 99% 이상 차단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숫자가 높을수록 미세입자 차단 성능은 뛰어나지만, 호흡이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호흡량과 활동 환경을 고려해 적절한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마스크를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기한을 확인하는 것이다. 제품 포장에 표시된 사용기한 내에서만 입자 차단 성능이 보장되므로, 사용기한이 지난 마스크는 착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기한이 지난 마스크는 필터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어 미세먼지나 황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할 수도 있다.
마스크를 올바르게 착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보건용 마스크는 코와 입을 완전히 가리고 얼굴에 밀착되도록 착용해야 하며, 틈이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얼굴에 밀착되지 않으면 마스크를 착용해도 미세입자가 들어올 수 있어 효과가 반감된다. 또한 수건이나 휴지를 덧댄 후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밀착력이 떨어져 차단 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마스크를 재사용하는 것도 위험하다. 보건용 마스크는 세탁하면 미세입자 차단 성능이 저하되므로 세탁해 사용해서는 안 된다. 또한, 사용한 마스크는 먼지나 세균에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 재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에서는 마스크를 햇볕에 말리거나 전자레인지에 넣어 살균하려는 시도를 하지만, 이는 필터 구조를 손상시켜 차단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최근 황사와 미세먼지가 심해지면서 보건용 마스크 수요가 급증하자, 이를 악용해 가짜 KF 마스크를 판매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일부 업체에서는 KF 인증을 받지 않은 마스크를 보건용 마스크인 것처럼 광고하고 판매하는데, 소비자는 반드시 제품 용기나 포장에 '의약외품' 및 'KF' 표시가 있는지 확인하고, 식약처에 허가된 제품인지 의약품안전나라(nedrug.mfds.go.kr)에서 조회하는 것이 안전하다.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했다고 해서 미세먼지와 황사가 완벽하게 차단되는 것은 아니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고 실내에서 생활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 부득이하게 외출할 경우 보건용 마스크를 올바르게 착용하고, 귀가 후에는 손과 얼굴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또한, 의류에도 미세먼지가 묻어 있을 수 있으므로 실내로 들어가기 전에 먼지를 털고, 옷을 세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약처는 "소비자들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보건용 마스크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올바른 마스크 선택과 사용법을 숙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만원대로 5G 20GB 사용! 알뜰폰 혁명 시작 (0) | 2025.03.05 |
---|---|
사용기한 지난 마스크, 안전할까? (0) | 2025.03.05 |
혁신형 물기업 10곳 선정! 5년간 최대 5억 원 지원 (1) | 2025.03.04 |
공공기관 실시간 전력사용량, 국민에게 첫 공개된다! (0) | 2025.03.04 |
심사위원+국민투표 50:50! 기상기후 공모전, 가장 감동적인 작품 직접 골라보자 (0) | 2025.03.04 |
댓글